"세 개 이상의 모형" - 김유림
서문
어떤 모형일까, 어떤 질서일까, 어째서 세 개 이상일까.
그것은 그에게 저장된 상처의 성질일 것입니다.
잊을 수 없는 기억의 조각일 것입니다.
작가 - 김유림
약력 -
º 2016년 현대시학 신인상 수상
º 시집 「양방향」 출간
어긋남이 만들어낸 우연한 파문
-「나의 검은 고양이」에서
2016년 현대시학 신인상을 받으며 작품 활동을 시작한 김유림의 두번째 시집 『세 개 이상의 모형』이 문학과지성 시인선 544번으로 출간되었다. 첫 시집 이후 약 반년 만에 나온 이 책은 『양방향』 이전에 씌어진 원고를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그러나 책이 되어가는 과정에서 많은 시들을 빼고 고치고 덧붙이면서 처음과는 확연히 다른 모습이 되었다.
『세 개 이상의 모형』에서 김유림은 기억을 지긋이, 유심히, 끈질기게 지켜본다.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처럼 시간과 기억을 끝없이 떠돌며 두려워했던 지난 시집에서 좀더 나아가, ‘나’라는 내밀한 장소마저 허물어 무수한 문장과 사람들이 드나들 수 있는 공간으로 만든다. 해설을 맡은 강보원의 말을 빌리면 이 책은 김유림에게 놀이 장소이자 전시 공간, 영원히 임시에 불과한 거주지, 고집스럽고 (이제는) 즐겁게 헤매려는 기록이다. 김유림의 시는 진지한 해석이 필요한 텍스트이지만, 책의 질서에 몸을 맡긴 채 둥둥 흘러가다 보면 기묘하고 귀여운 모형들을 거쳐 경쾌한 파동을 마주치게 될 거라는 기대 또한 걸어봐도 좋겠다. 당신은 우연히 이 시집을 만난다. 당신은 이 책을 헤매고 싶어질 것이다.
저의 시에서는 시간을 건너뛰거나 시간을 끌어오는 것이 중요하고, 장면이 중요하고, 사람이 중요하고, 사람들이 중요하고, 기억이 중요하지만 또 지금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이것들을 한데 모아 집어삼키는 책이라는 존재가 중요합니다. 선형적인 시간의 경험을 제공한다고 여겨지는 책이라는 존재가 이것들을 데리고 갑니다. 「뒤표지 글」에서
- 출처 : 교보문고 책 소개 -
"장면과 사람과 책이 중요합니다. 시간과 공간이, 선별된 아름다움이 중요합니다."
추천 구절
"뒤집어보면 나는 너의 인형 같은 일관됨이며 그것이 불러일으킨 애정이며, 모두 경멸할 수 있었다. 또 뒤집어보면 겨울이 와버렸다. 눈이 내려버렸다. 거짓말처럼 길도 새로워 보이고 어둠도 조금 새로워 보인다. 딸기는 껍질이 없어서 깎을 필요도 없는데 수고롭다. 네가 떨어진 꼭지 하나를 주워 들고 말했다. 마지막 하나까지, 나는 본다. 되감아지는 기억처럼, 내리고 금세 녹아가고 있다. 눈 한 송이까지 어쩌면."
- p.51 "6 너의 의미" 中 -
"간 사람은 돌아와 그러나 간 사람을 찾으러 갔던 사람은 돌아오지 않는다 그래도 나무가 있고 나무가 있다 나무가 있는데 또 나무가 보인다 그만하고 싶지만 나무가 있고 나무가 있다 그만하고 싶어도 나무는 그만하지 않고
···
나무가 있다 나무가 없어도 있어도 간 사람은 돌아오고 간 사람을 찾으러 갔던 사람은 이상하지 돌아오지 않는다"
- p.108 "꿈의 꿈" 中 -
"해수는 오늘에 와서도 조류박물관에 갔던 것을 기억할 수 있다. 잊기는 잊었다.
잊기는 잊었다. 반복하는 것이다. 사이사이 잊기를 잊게 되면 무시라 수 없는 기억이
무시무시하게 반복한다. 기억이 반복하는 것이다. 기억이 반역하는 것이고. 해수는 그저 앉아 있을 뿐이다. 올리브색 조끼와 꽃무늬 치마를 입은 채 엉거주춤하게 앉아 있을 수만 있다.
···
동생과 나란히 서서 사진을 찍기 위해 포즈를 취했다.
활짝 웃으면 아무는 흉터가 기일게 부각되었다.
그것이, 입술이,
기억하는 섬광 같다 “
- p.18 "영상들" 中 -
[리뷰]
난해함 : ★★★☆☆
한 줄 평 : 무질서한 질서가 도사린다. 칠이 벗겨진 횡단보도처럼.
시 이야기
일상을 살아가며 쉽게 잊어버리는 기억이 있고 때로 잊지 못하는 기억이 있습니다. 역설적이게도 쉽게 잊어버리는 기억들은 잊고 싶지 않았던 순간들이고 잊지 못하는 기억은 잊고 싶은 순간들입니다. 이는 인간의 뇌가 부정의 개념을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생각하지 않는다.’는 사고 회로 자체가 인간의 뇌에 부재합니다.
그러나 시집에서 시인은 계속해서 ‘생각하지 않음’에 도전합니다. 자칫 상처를 외면한다고 오해할 수 있지만, ‘생각하지 않음’은 외면과 전혀 다른 태도입니다. 외면하는 이는 잘못을 저지른 아이처럼 자꾸만 핑계를 대며 본질에서 벗어나 뜬구름을 잡습니다. 하지만 김유림 시인은 본질적 상처의 근원에 바로 선 채 그곳을 떠나지 않습니다. 그리고는 상처를 연상시키는 이미지 혹은 인물과 본질에서 벗어난 이야기를 나눕니다. 그 대화가 새로운 감정을 끌어내 기존의 감정을 밀어내기 위함인지, 상처마저 사랑했기에 그것을 다시금 상기하기 위함인지는 시인만이 알 수 있습니다. 다만 그것이 기존의 상처를 지우는데, 혹은 새로운 감정을 생성하는데 선한 영향력을 끼친다는 사실에는 변함이 없습니다.
“홍보의 아버지”로 불리는 에드워드 버네이스는 어떤 생각을 자꾸만 하다 보면 그 생각이 확신으로 자리 잡는다고 말했습니다. 이는 인간의 뇌가 부정의 개념을 이해하지 못한다는 이론과 일정 부분에서 상충합니다.
다만 위 문단에서 알 수 있듯, 상처를 잊고자 하는 이들에게 여타 이론들은 중요한 문제가 아닐 수 있습니다. 이미 시인은 나름의 방식으로 치유하고 있고 우리에게 그 방식을 넌지시 알려주고 있기 때문입니다.
"민수는 아물어가는 상처를 들여다보기 좋아한다. 점차적으로 줄어드는 것이 어떤 증거가 된다. 그러나 왜 아직도 환부는 선명하지? 여기 아직도 빨갛다. 너는 말한다. 딱지라고 하기엔 너무 선홍빛이다. 곧 터질 것 같다. 너는 말한다. 딱지는
딱지라고 하기엔 너무 크고 붉다.
비가
비처럼 올 수도 있고
비라고 하기엔 너무 현실적으로, 올 수도 있다.
너처럼,
이것은 모든 것. 너처럼"
- p.66 "22 거울 운동" 中 -
'읽어볼까요 > 시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책 리뷰] 김기택 시집 "낫이라는 칼" (0) | 2022.11.19 |
---|---|
[책 리뷰] 이시영 시집 "나비가 돌아왔다" (0) | 2022.11.18 |
[책 리뷰] 이지아 시집 "이렇게나 뽀송해" (2) | 2022.11.18 |
[책 리뷰] 안미린 시집 "눈부신 디테일의 유령론" (0) | 2022.11.17 |
[책 리뷰] 임지은 시집 "때때로 캥거루" (0) | 2022.11.17 |
댓글